2017년 지구 근처를 통과해가는 수수께끼의 천체 1991VG에 대한 과학자들의 견해는?
1991VG의 수수께끼
우리가 사는 지구에 접근했다 사라진 이상한 천체의 보고가 있었다. 1991년 미국 애리조나 대학의 천문학자 '제임스 스코티'에 의해 발견된 이 천체의 기원에 연관되어 <1991VG>란 이름을 갖게 된다.
이후, 2016년까지 무려 25년의 세월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그 전모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고 한다.
1991VG이 수수께끼에 쌓여 있는 이유를 대략 설명한다면 다음 2가지를 들 수 있다.
하나는 1991VG가 이상할 정도로 빠른 자전 속도를 갖고 있는 점이고, 다른 하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밝기가 변화하는 점이다. 모두 다른 소행성에서는 볼 수 없는 특징이기 때문에 연구자들의 논의 대상이 되고 있다.
또한, 1991VG의 공전 궤도가 지구와 흡사한 것도 놓칠 수 없다. 이러한 사실을 근거로 들며 일부 전문가들은 1991VG가 인공물이 아니냐는 의심을 하고 있다.
달 착륙을 감행한 아폴로 12호의 로켓 부품이 아니겠느냐는 설도 나왔지만, 처음 발견되었을 당시의 시간적인 문제에서 '스코티'는 이 주장을 부정했다. 또 다른 쪽에서는 1991VG이 "소련의 것"이 아닐까 하는 사람들도 있다. 냉전 시대 미국과 우주 개발 경쟁에 나섰던 소련이 비밀리에 발사한 로켓의 부품이 1991VG의 정체라고 주장한다.
"소련이 미국처럼 강력한 로켓을 가지고 있었다고 가정하고 달에 도달하려다 실패하여 은폐한 것이 틀림없다."
이것은 해외의 인터넷 포럼에서 발췌된 의견 중 하나이지만, 당시의 사회 정세를 생각해보면 확실히 그 가능성을 부인할 수는 없다.
지구 외 인물이 관여했을 가능성도?
거시적 관점에서 비밀을 밝히려는 시도도 나왔다. 호주 애들레이드 대학의 천문학자인 '던컨 스틸'는 1991VG는 외계인이 날린 감시 장치일 가능성을 지적하고 있다.
"1991VG는 인공물조차 없이 지구 밖의 기술에 의해 초래된 물체이다."라는 주장이다.
다만 '더컨 스틸'은 이 주장이 무조건 옳다는 것은 아니다는 취지를 인터뷰 내용에서 밝혔다. 특정 조건이 성립될 때, <단순한 소행성도 1991VG처럼 빠른 자전을 할 수 있다는 것이 최근에 밝혀졌기 때문이다>
"또 다른 가능성으로, 1991VG은 달의 충격에서 떨어져 나온 것일 수도 있습니다. 열 배출에 의한 야르콥스키 효과로 오랫동안 주변에서 압력을 가해 물체가 회전하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라며 이 의문의 해결은 아직 퍼즐과 같은 단계에 지나지 않는다고 한다.
그러나 1991VG가 만일 외계인들의 감시 장치라고 한다면, 그것은 어떻게 찾아온 것일까? 그 대답을 컴퓨터의 도움으로 끌어낸 사람이 영국 에든버러 대학의 수학자인 '호간'과 '아르웬 니콜슨'이다. 두 사람에 따르면 외계인 우주 항법은 행성의 중력장을 이용하여 수행된다고 한다.
중력장을 이용한 <스윙바이>는 사람의 손에 만들어진 우주선도 그대로 이용하는 기술이기 때문에 SF소설에 나올법한 이미지가 아니다. 1991VG는 수많은 행성을 징검다리처럼 통과하면서 가장 빠르면서도 확실하게 태양계로 발길을 뻗쳐왔는지 모른다.
2017년에 지구에 다시 접근… 이번엔 진상규명 될까?
알면 알려 할수록, 1991VG의 수수께끼는 깊어진다. 소행성인가? 우주개발 경쟁의 흔적인가? 혹은 외계인의 감시 장치인가?
발견 당시에는 지구에서부터 약 46만km까지 근접했던 1991VG는 그 후, 지구에서 멀리 벗어났지만 2017년 여름에는 다시 지구에 접근한다. 수십 년 만에 찾아온 절호의 기회를 통해 이번에는 1991VG의 정체가 드러나기를 기대한다.
'IT.과학.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웨이 MgateBook <진정한 개인PC>가 목표 (0) | 2016.02.25 |
---|---|
[2016년]용도와 목적에 따라 나눈 투인원 2 in1 PC 추천 (0) | 2016.02.25 |
애플 맥(Mac)에 시리(Siri) 탑재 소문. 가을에 출시될 OS X 10.12 주요기능 (0) | 2016.02.25 |
애플의 아이폰 암호 잠금 문제에 대해 미국인의 과반수는 FBI를 지지 (0) | 2016.02.24 |
[2016년]전 세계 인터넷 사용자 수가 32억명이란 조사 결과가 발표 (0) | 2016.02.23 |